빅 데이터 시대의 의사결정/정책결정
Managing Big Data and Decision Making in a New Global Economy

2016. 11

빅 데이터 (Big Data)라는 말이 자주 들리고 조만간 우리에게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 같다. 그런데 ‘빅 데이터’라는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대처하고 활용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찾기가 어려워 뭔가 불안하기만 하다. 이를 극복하는데 좋은 자료가 있어 공유하고자 한다.

이 글은 2016년 6월에 중국 북경에서 열린 ‘First World Congress and 2016 Asia Pacific DSI Conference’ 내용 중 ‘Decision Making in the Big Data Era: Optimize Organizational Performance via Business Intelligence and Analytics’의 내용에 기반하여 [주]디시전사이언스에서 작성한 것임.

이 자료에서는 다음 내용에 대해 살펴본다.

  • Business Intelligence and Analytics (BI&A)의 핵심 개념, 발전, 활용, 프레임워크와 최신 동향
  • 빅 데이터 시대의 과제와 기회와 그에 대한 대처 방안
  • 빅 데이터 (Big Data)?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도구들이 획득, 저장, 관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는 많은 량의 데이터를 의미함. (McKinsey Global Institute)

    빅 데이터 시대의 특징?

    과거에는 상당히 예측 가능하고 협력적인 사업환경에서 구조화된 자료들을 기반으로 통계적 기법들을 활용한 전통적 방식의 분석들을 하였으나, 빅 데이터 시대에는 변화가 심하여 예측이 어려운 글로벌 사업환경에서 구조화되지 않은 대량의 자료들을 기반으로 선진 분석기법들을 활용하여 선제적이고 창조적인 의사결정을 해야만 함.

    구분

    특징

    Big Data 시대 이전 예측 가능하고 협력적인 사업환경
    구조화된 자료
    전통적 분석 및 통계적 기법 활용
    대응적이고 정형화된 의사결정
    Big Data 시대 변화가 심한 글로벌 사업환경
    구조화되지 않은 엄청난 자료
    선진 분석기법 활용
    선제적이고 창조적인 의사결정

     

    성공적인 조직 및 의사결정자?

    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의미를 파악하고, 큰 그림을 그려, 통찰력을 얻을 수 있어야 함.
    최신의 분석기법들, BI&A (Business Intelligence & Analytics)를 활용하여 향상된 의사결정과 성과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함.

    빅 데이터 시대의 과제와 기회: BI&A 활용?

    빅 데이터 시대에는 BI&A (Business Intelligence & Analytics) 도구를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함.
    조직들은 빅 데이터 시대에 최신의 BI&A를 활용하여 경쟁력을 더 높일 수 있음.


    인용하실 경우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expertchoice.co.kr/bigdata_decision.html

      1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