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It(메이크잇) 도움말
(윈도우즈 버전)
3. 평가방법 설정
3. 평가방법
‘평가방법’ 탭(Tab)에서는 ‘모델구축’에서 만들었던 모델 요소인 평가기준, 대안을 평가하는 방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3-1. 목적 / 평가기준
‘목적 / 평가기준’은 모델의 목적과 평가기준들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나에게 가장 적합한 휴대폰 선택’은 목적이고, 1차 기준이 5개 있습니다: ‘가격(공기계)’, ‘성능’, ‘디자인’, ‘브랜드’, ‘서비스’.
1차 기준 중 ‘성능’은 3개의 하위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스템 램(RAM)’, ’카메라‘, ’배터리용량’.
대안은 ‘휴대폰1’, ‘휴대폰2’, ‘휴대폰3’ 등 3개가 있습니다(이 섹션에서는 익명으로 처리).
3-2. 평가방법
평가방법에는 ‘쌍대비교’와 ‘직접입력’이 있습니다.
3-2-1. 쌍대비교
쌍대비교는 하위 기준 또는 대안을 쌍으로 묶어 1대1로 여러 번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2가지 기준 또는 요소 중에서 어느 쪽이 얼마만큼 더 중요한지를 선택합니다. 쌍대비교를 통해 쌍대비교 매트릭스(Matrix)가 형성됩니다.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기본 평가방법입니다.
3-2-2. 직접입력
직접입력은 하위 기준 또는 대안 별로 직접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입니다. 가격 등 실제 자료가 있는 경우 이를 직접 활용할 때 활용합니다. 또는 자료가 없지만 확신 있게 차이를 두어 평가할 수 있을 경우 활용합니다. 주의: ‘역수계산’ 여부를 잘 판단해서 해당 기능을 선택해야 합니다.
[역수계산]
‘직접입력에서 ’역수계산‘ 탭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는 값이 클수록 좋게 평가됩니다. 예를 들어, 수익이나 이익 등의 평가기준에서는 수익이나 이익이 큰 대안이 더 좋게 평가됩니다.
반면, ‘직접입력’에서 ‘역수계산’ 탭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값이 작을수록 좋게 평가됩니다. 예를 들어, 비용이나 환경오염 등의 평가기준에서는 비용이나 환경오염의 효과가 적은 대안이 더 좋게 평가됩니다.
3-3. 세부내용
‘평가방법’에서 ‘쌍대비교’와 ‘직접입력’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세부 내용을 설정합니다. 설정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대각방향’, ‘필수비교’가 선택되어 있습니다.
3-3-1. 가로방향
‘가로방향’은 쌍대비교를 선택한 경우 비교할 요소들을 매트릭스(Matrix)의 가로 방향 순서대로 비교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5개 1차 기준(‘가격(공기계)’, ‘성능’, ‘디자인’, ‘브랜드’, ‘서비스’)의 ‘가로방향’ 평가 순서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
‘X’ 표시가 있는 셀은 평가하지 않습니다. 1 ~ 10까지의 셀 값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3-3-2. 대각방향
‘대각방향’은 쌍대비교에서 비교할 하위 요소들을 메트릭스(Matrix)의 대각 방향 순서대로 비교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5개 1치 기준(‘가격(공기계)’, ‘성능’, ‘디자인’, ‘브랜드’, ‘서비스’)의 ‘대각방향’ 평가 순서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
‘X’ 표시가 있는 셀은 평가하지 않습니다. 1 ~ 10까지의 셀 값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3-3-3. 전부비교
‘전부비교’는 쌍대비교 매트릭스에서 평가해야할 모든 셀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위 쌍대비교 매트릭스에서 1 ~ 10까지의 모든 셀에 대해 1:1 비교를 하는 것입니다. 이론적인 정밀성을 추구하는 경우에 활용합니다.
3-3-4. 필수비교
‘필수비교’는 쌍대비교 매트릭스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셀에 대해서만 평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위 쌍대비교 매트릭스에서 1 ~ 7까지의 모든 셀에 대해서만 1:1 비교를 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리서치나 업무 활용 시에는 ‘필수비교’가 적절합니다. 비교 대상이 많을수록 ‘전부비교’에 비해 1:1 쌍대비교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